본문 바로가기
그게 뭔뎅?

트랄랄렐로 트랄랄라 밈, 왜 이렇게 자주 나올까?

by maxw00ng 2025. 5. 20.
반응형

 

트랄랄렐로 트랄랄라 밈

요즘 커뮤니티나 영상 밈에서 자주 들리는 소리 중 하나가 바로 ‘트랄랄렐로 트랄랄라~’다. 어디선가 들으면 무조건 귀에 박히고, 의미는 잘 몰라도 괜히 웃음이 나는 그 소리. 도대체 어디서 시작된 걸까?

트롤로로송의 유래

이 밈의 시작은 러시아 가수 에두아르드 힐(Eduard Khil)이 1976년에 부른 'I Am Glad, 'Cause I'm Finally Returning Back Home'이라는 노래다. 가사가 검열당해 멜로디만 남았고, 트롤로로로~ 소리로 가득한 이 영상은 2010년 유튜브에 올라오면서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왜 이렇게 웃긴 걸까?

멜로디만으로 구성된 이 노래는 가사가 없다는 점에서부터 이미 독특하다. 말 없이 트롤로로로~만 반복되며, 듣는 사람에게는 묘한 중독성과 황당함을 동시에 안긴다. 게다가 에두아르드 힐의 진지한 표정과 부자연스러운 표정 연기도 이 밈을 더 웃기게 만든 요소다.

밈으로 쓰이는 방식

주로 심각하거나 민망한 상황에 반전으로 이 음악이 삽입된다. 유튜브 편집 영상이나 게임 스트리밍 클립에서 전혀 어울리지 않는 장면에 등장해 의외성을 자극한다. 단순한 음향 효과로서도 많이 쓰이고, 디스코드나 틱톡 등에서도 애용된다.

인터넷 밈 문화 속 위치

트랄랄라송은 뜻도 내용도 없지만 단지 '웃긴 느낌'만으로 확산된 대표적인 넌센스 밈이다. 사운드 밈이라는 특성상 언어 장벽이 없고, 누구나 공감할 수 있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된다. 지금도 꾸준히 새로운 영상과 리믹스로 재탄생하고 있다.

 

코인 관련

트랄랄렐로 라는 밈코인이 시장에 등재되어 있고 해당 밈의 가치가 엄청나게 급등하였습니다. 세간에는 해당 코인의 가격을 올리기 위해 트랄렐로 밈을 풀었다 라는 이야기도 있는데요. chill한 밈을 넘어선 트랄렐로 밈도 벌써 사그라들고 있기 때문에 성급한 구매는 많은 고민이 필요해보입니다. 

트롤로로, 트랄랄라, 인터넷밈, 짤, 유튜브밈, 중독성소리, 밈역사, 넌센스밈, 트롤송, 에두아르드힐

반응형